항구도시의 에콜로지

도서명:항구도시의 에콜로지
저자/출판사:홍선기/민속원
쪽수:216쪽
출판일:2023-05-30
ISBN:9788928518616
목차
머리말
1부. 기후, 생태, 그리고 회복력
바다와 항구도시의 변천
도시의 확장과 쾌적함
생태전환 시대 도시 이미지
도시의 명품 가로수 길을 만들자
지역 이미지와 가로수 수종
매력적인 에코포트 시티(Eco-port City), 중국 광저우(廣州)시
「도시생태학」 관점의 도시재생
도시 생태계서비스
생태통로(Eco-corridor)의 효율성
해수면 상승과 연****도시의 위기
에코시티의 지표, 비오톱 매핑
해양도시와 기후 대응
도시와 바람길
도시와 역병
도시 질병의 전파와 인접 섬
팬데믹과 함께한 도시
100년 만의 폭염과 폭우
기후위기, 대응과 회복력
기후위기와 신 해양도시
2부. 공간재생과 뉴 브랜드
시민과 함께 하는 도시재생
사토야마-사토우미(里山里海), 일본의 마을재생
섬과 도시의 통합, 일본 세토내해와 우리나라 서남해
도시 사각지대 공간을 자투리 공원으로
길, 도시문화 서비스의 상징
항구도시재생과 워터프론트
트램(Tram), 항구도시 교통생태계의 미래
세토내해 항구도시 오노미치(尾道)시의 도심재생
도쿄만의 갯벌 복원과 친수도시 조성
섬과 함께하는 항구도시 ESG 경영
거주 가능성(Habitability), 살고 싶고 일하고 싶은 섬의 조건
음식 사막(Food desert)과 음식 늪(Food swamp)
해양도시 맛의 브랜드, 시어(市魚)를 생각하자
목포 9味와 맛의 신세대
도시 광장의 역할
로컬리티 해양문화, 목포 스낵과 통영 다찌
해양도시와 품격 있는 여행
중소 항구도시의 경쟁력
목포 ‘시민의 섬’ 디자인
3부. 섬, 도시, 지역의 연결성
도시의 문화유산, 그리고 축제
목포에 둥지를 튼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과 한국섬진흥원
중국 저우산 군도(舟山群島)의 도시화
‘島都相生’, 섬과 도시 함께 살아가기
디지털 어바니즘(Digital Urbanism)과 공정성
지방소멸 극복을 위한 지역대학의 역할
인공 섬 도시의 시대
연륙교로 연결된 일본 항구도시와 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