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금속문명사: 주먹도끼에서 금관까지
도서명:한국 금속문명사: 주먹도끼에서 금관까지
저자/출판사:김종일,성정용,성춘택,이한상/들녘
쪽수:519쪽
출판일:2020-01-15
ISBN:9791159254871
목차
저자 소개와 총서 기획편집위원회
일러두기
발간사_ 〈한국의 과학과 문명〉 총서를 펴내며
제1장 서론 _김종일 성춘택
제2장 돌을 다듬다: 문명의 시작 _성춘택
머리말: 석기와 기술 변화를 보는 시각
■ 상자글 2-1. 최초의 돌로 만든 도구: 석기의 출현
1절 한국 선사시대 석기기술 연구사
2절 석기의 종류와 제작기술
1. 석기 제작기술의 이해
1) 석기의 종류
2) 석기 제작과 사용의 과정
2. 신석기, 청동기시대 석기의 제작과 분류
3절 석기기술의 다양성과 변화
1. 구석기시대 석기기술
1) 주먹도끼와 이른 구석기시대
2) “인류혁명”과 돌날기술
3) 돌감 사용과 석기기술의 진화
2.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석기기술
1) 돌화살촉의 제작과 사용
2) 농구와 공구: 돌괭이와 돌칼, 갈판과 갈돌
3) 석제 장신구와 옥
4) 간돌검과 청동기시대 사회의 위계
5) 석기 조성과 신석기ㆍ청동기시대 생업경제의 변화
4절 동아시아의 맥락과 사회 속에서 석기기술의 의의
1. 석기기술의 사회적 맥락
1) 석기와 선사시대 사회적 기술의 이해
2) 흑요석과 잔석기가 말하는 후기 구석기시대 사회네트워크
2. 동아시아 석기기술과 한국 선사시대의 석기
맺음말: 석기기술과 금속문명
제3장 금속을 녹이다: 금속문명의 도입과 청동기 _김종일
머리말
1절 동의 발견과 금속문명의 시작
2절 한국 청동기문화 연구에 대한 연구사
3절 청동 제작과 장인
1. 동광 산지 추정 및 동괴(copper ingot) 혹은 청동괴(bronze ingot)의 생산과 교역
2. 납 동위원소 분석과 산지 추정
3. 청동기 제작기술: 거푸집의 사용과 생산 제작기술 ? 작업연쇄의 관점에서
4. 청동 제작장인의 신분과 생산조직
5. 청동기의 주조와 공방
6. 한국 청동기 제작기술과 생산 과정의 기술사적, 사회사적 의미 ? 비교사적 관점에서
4절 한국 청동기문화의 전개와 청동기
1. 한국 청동기문화의 전개와 발전
2. 한반도 출토 청동기의 종류와 분포
1) 무기류: 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 동모, 동과, 동촉
2) 생산 공구류: 동부, 동착, 동사
3) 장신구류: 동포 등
5절 한국 청동기문화와 동아시아 문명
1. 한국 청동기문화와 중국 동북 지역
2. 한국 청동기문화와 일본 출토 한국계 청동기의 관계: 세형동검의 일본지역 내 확산과 초기 정치체의 형성
맺음말
■ 상자글 3-1. 한국의 이형청동기와 지배자
■ 상자글 3-2. 일본 요시노가리 유적과 한국식 세형동검
제4장 쇠를 두드리다: 우리 역사를 바꾼 혁신적인 이기, 철 _성정용
머리말: 철의 탄생과 그 중요성
1절 철 생산과 철기 제작기술: 사회를 변혁시킨 신기술
1. 철 생산 공정
1) 원료 획득
2) 제련 공정: 본격적인 철 생산
2. 철기 제작 공정
1) 주조 공정: 용해 및 주조
2) 단야 공정: 제강 및 성형단야
■ 상자글 4-1. 철기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도구는 무엇이 있을까?
■ 상자글 4-2. 옛날 철 생산에는 얼마나 많은 작업 인원이 필요하였을까?
2절 우리나라 제철 문화의 발달 과정
1. 신기술, 언제 우리나라에 유입되었을까?
2. 고대의 제철 양상
3. 중세의 제철 양상
1) 고고학 자료에 보이는 고려ㆍ조선시대의 제철
2) 문헌에 보이는 고려ㆍ조선시대의 제철
■ 상자글 4-3. 조선시대의 철 종류와 장인
3절 다양한 철기의 종류
1. 무기
2. 농구
3. 마구
4절 철의 사회적ㆍ기술사적 의의: 철, 과연 우리 세상을 바꾼 이기였는가?
맺음말
제5장 금과 은을 구부리고 펴다 _이한상
머리말
1절 문명의 진전과 귀금속
2절 고대 금은공예품의 제작기술
1. 귀금속의 채광과 정련
2. 금은공예품의 제작기술
1) 주조
2) 단조
3) 투조와 색채대비
4) 누금세공
5) 상감
6) 도금
3절 장인과 귀금속 공방
1. 고대 장인의 사회적 신분
2. 귀금속 공방과 물품 제작
4절 고대 금은공예품의 사회사: 권력의 표상, 귀금속
1. 금은공예품의 독점과 사여
2. 금은공예품 활용방식
1) 백제
2) 신라
3) 가야
5절 고대 금은공예문화의 확산: 양식의 창출과 확산
1. 고구려의 금은공예문화
1) 관
2) 귀걸이
■ 상자글 5-1. 부여의 귀걸이
2. 신라의 금은공예문화
1) 관
2) 귀걸이
■ 상자글 5-2. 황남대총 금은제 그릇
■ 상자글 5-3. 천마총 금은제 그릇
3. 백제의 금은공예문화
1) 관
2) 귀걸이
■ 상자글 5-4. 무령왕기 금속용기
4. 가야의 금은공예문화
1) 관
2) 귀걸이
■ 상자글 5-5. 통일신라의 금은공예품
맺음말
제6장 결론 _김종일
주석
표 및 그림 일람
참고문헌
찾아보기
Contents in English